제 1 차 간외 담관암 임상 진료 지침 개발 공청회 안내 (10/31, 금)
2019-10-14 ISTS 2017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간담췌외과학회에서는 간외 담관암 임상 진료치침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진료지침위원회는 현재까지 개발된 자료로 오는 외과학회 기간 중 10월 31일 제1차 공청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이 공청회는 회원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고 아울러 대한 의학회 인준을 위한 필요한 과정이므로 간담췌 외과학회 회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공청회 일정]
제 1 차 간외 담관암 임상 진료 지침 개발 공청회
일시: 2019년 10월 31일 오전 8시 20분 ~ 9시 30분
장소: 그랜드힐튼호텔 서울 컨벤션센터 다이아몬드홀 (3F)
[공청회 프로그램]
Clinical Pratice Guideline for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발표주제 | 세부 주제 | |
Part 1 | 진단과 수술전 처치 | |
좌장: 한호성, 황신 | ||
Statistics in Korea; Diagnosis and preoperative staging | Q1 Statistics of extrahepatic cholangiocarinoma in Korea (김상걸) Q2 췌담관 합류이상 (pancreaticobiliary maljunction)는 예방적 수술을 위한 의뢰가 필요한가? (권형준) Q3 수술전 담관암의 병기 설정을 위해 어떤 영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하는가? (권형준) Q4 담도 악성종양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수술전 조직학적(histological) 이나 세포학적(cytological) 진단은 필수적인가? (안근수) Q5 담관암에서 수술전 CA19-9의 역할은? 그리고 수술 후 추적중 C19-9의 역할은? (안근수) | |
Preoperative Biliary drainage and Stategy to Avoid LIVER FAILURE | Q6 황달(Jandice)이 있는 간문부 담관암과, 원위부 담관암 환자에서 수술전 적절한 담도배액방법은? (배액관의 위치, 수, 빌리루빈 레벨, 방법) (이상권) Q7 담관염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열, 배양, 첫 담도배액술시 항생제 사용, 담즙배액) according to Tokyo guideline (이상권) Q8 간문부 담관암에서 수술후 잔존간(future remnant liver)의 간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검사는? (정치영) Q9 간문부 담관암에서 수술전 간문맥색전술(portal vein embolization)이 언제 고려되어야 하는가? (정치영) Q10 절제불가능 간외담관암 환자에서 어떤 방식의 (ENBD, ERBD, or STENT) 담즙배액술을 추천하는가? (권형준) | |
Part 2 | 수술과 추적 | |
좌장: 유희철, 박상재 | ||
Principle of Surgical treatment | Q11 간문부담관암의 Bismuth type에 따른 외과적 치료원칙은? (이희성) -Bismuth Type 1은 caudate resection이 필요한가? -Bismuth Type 4는 수술이 가능한가? -원위부담관암에서 담관절제술은 적절한 수술인가? Q12 간문부담관암과 원위부담관암에서 HPD의 적응증과 효과는? (임진홍) Q13 담도 악성 종양 절제수술시 적절한 절제된 lymphadenectomy 범위와 림프절의 수는? (정치영) Q14 간문맥이나 간동맥에 침윤된 담도 악성 종양 환자에서 혈관 동시 절제를 시행해야 하는가? (조찬우) Q15 간외담관암의 병리진단지에 기재되어야할 기본 항목은 무엇인가? (장기택) | |
Surveilance and Adjuvant Chemotheraphy | Q16 근치적 치료 후 추적검사는? (조찬우) (1) 추적검사 interval? (2) 추적검사방법은? Q17 근위부 담관암 또는 원위부 담관암에 대한 절제수술후 Benign stricture 와 malignant stricture 는 구별이 가능한가? (최새별) Q18 근위부 담관암 또는 원위부 담관암에 대한 절제수술후 문합부 국소재발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유용한 치료방법은? (최새별) Q19 간문부담관암 또는 원위부 담관암에서 발생한 소수의 원격전이 재발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유용한가? (최새별) Q20 근위부 담관암 또는 원위부 담관암에서 원발질환에 대한 수술적 절재후 잔존 담관에 발생하는 신생 담관암에 대한 치료는? (김상걸) Q21 수술 후 보조적 전신항암화학요법의 역할은? (임창섭) |
감사합니다.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회 장 한 호 성
이 사 장 유 희 철
진료지침이사 김 상 걸